✔️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미래에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미리 계산해보는 시스템으로, 노후 생활 설계의 핵심 지표입니다.
✔️ 2025년 기준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은 월 67만원이며, 개인의 소득과 가입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.
✔️ 국민연금의 조회 방법과 계산 방법 그리고 온라인 사이트, 계산 기준에 대해서 알아가시길 바랍니다.
조회 방법
➡️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
▪️ 가장 정확하고 상세한 예상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사이트입니다.
▪️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'예상연금액 조회' 메뉴에서 현재가치 기준과 미래가치 기준 모두 확인 가능합니다.
➡️ 내 곁에 국민연금 모바일 앱
▪️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예상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앱입니다.
▪️ 카카오페이, 네이버 인증 또는 공동인증서로 간편 로그인이 가능합니다.
➡️ 정부24 통합 포털
▪️ 정부24에서 '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'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▪️ 본인 가입이력을 기초로 한 정확한 예상연금액 조회가 가능합니다.
계산 방법
➡️ 기본 계산 공식
▪️ 연금액 = 1.245 × (A + B) × (1 + 0.05n/12) × 지급률
▪️ A: 연금수급 전 3년간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월액 (2025년 기준 3,089,062원)
▪️ B: 개인의 가입기간 중 기준소득월액 평균액
▪️ n: 20년 초과 가입월수
➡️ 소득별 예상수령액 (30년 가입 기준)
- 월소득 200만원: 약 89만원
- 월소득 400만원: 약 115만원
- 월소득 617만원(상한액): 약 139만원
- 평균 수령액: 월 67만원
➡️ 부양가족 가산연금
▪️ 배우자: 연 300,330원 (월 25,028원)
▪️ 자녀/부모 1인당: 연 200,160원 (월 16,680원)
▪️ 주민등록표상 세대를 같이하는 가족에게 추가 지급됩니다.
온라인 조회 사이트
➡️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
▪️ 주소: minwon.nps.or.kr
▪️ 가장 정확한 개인별 예상수령액 조회 및 상세연금조회 서비스
➡️ 국민연금공단 간단계산
▪️ 주소: nps.or.kr/jsppage/app/etc/simpleExpect.jsp
▪️ 인증 없이 월 납입보험료 입력으로 간단히 예상연금액 확인
➡️ 정부24 모의계산
▪️ 주소: gov.kr (국민연금 예상 연금 모의계산 메뉴)
▪️ 노령, 유족, 장애연금 예상액을 인증 과정 없이 간편하게 조회
계산 기준
➡️ 2025년 기준소득월액 한도
▪️ 2024년 7월~2025년 6월: 하한액 39만원, 상한액 617만원
▪️ 2025년 7월~2026년 6월: 하한액 40만원, 상한액 637만원
▪️ 매년 7월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 변동률을 반영하여 조정됩니다.
➡️ 현재가치 vs 미래가치
▪️ 현재가치: 현재 화폐가치 기준으로 계산한 예상연금액
▪️ 미래가치: 소득 상승률과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미래 화폐가치 기준
▪️ 실제 수령액은 연금수급 당시의 A값과 재평가율에 따라 변동 가능합니다.
➡️ 가입기간별 지급률
- 10년 이상 20년 이하: 기본 지급률 적용
- 20년 초과: 매 1년당 5% 가산 (최대 50%)
- 최소 가입기간: 10년 (수급 자격 요건)
- 연금수급 개시연령: 출생연도에 따라 60~65세
정확한 조회를 위한 필수 정보
📋 필요한 인증 방법
▪️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인증서
▪️ 카카오페이, 네이버 인증서비스 (모바일 앱)
▪️ 금융인증서 등 다양한 전자인증 방식
💡 조회 시 확인사항
▪️ 총 예상 가입기간과 납부월수
▪️ 현재까지의 기준소득월액 평균 (B값)
▪️ 연금수급 시작 연월과 지급률
▪️ 부양가족 가산연금 대상 여부
⚠️ 주의사항
▪️ 예상연금액은 세전 금액으로 실제 수령시 세금 공제됩니다
▪️ 향후 법령 개정에 따라 예상연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
▪️ 미래 소득 변화와 가입기간 연장시 수령액이 달라집니다
▪️ 정확한 상담은 국민연금 콜센터(1355)를 이용하세요
🔻 같이 보면 좋은 글 🔻